본문 바로가기

우리들의 일상

온라인 마케팅 용어정리

온라인 마케팅 용어정리


Q1. CTR은 무엇이고 CTR을 높이기위한 방법은 어떤게 있나요?
- Click Through Rate. 클릭률입니다. 노출수 대비 클릭이 된 비율.

Q2. CPM은 무엇이고 CPM을 높이기위한 방법은 어떤게 있나요?
- Cost Per Mille. 광고를 1000회 노출 시키는데 발생하는 비용.

Q3. CVR은 무엇이죠?
- Conversion Rate. 전환(구매)율 입니다. 유입수 대비 전환(구매)된 비율.

Q4. IMP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!
- Impression. 광고가 노출된 횟수입니다.

Q5. 데이터를 수집하는 쿠키와 세션의 개념 차이와 원리가 궁금합니다
- 쿠키: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를 접속할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아두는 용량이 작은 임시파일로 추후 해당 사이트의 접속을 빠르게 하며 유저의 브라우징 행동을 추적하는데 사용됩니다.

- 세션: 일반적으로 방문수와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됩니다. 사용자가 일정기간 사이트에서 취한 행동의 집합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. (https://support.google.com/analytics/answer/2731565?hl=ko 참조)

Q6. DSP와 DMP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..?
- DSP : Demand side Platform. 광고노출이 가능한 매체들이 늘어나면서 광고주는 선택폭이 넓어졌습니다. 따라서 광고주가 효율적으로 매체에 노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이 바로 DSP입니다. DSP 광고는 매체와 광고가 도달된 고객 정보(오디언스)를 분석하여 광고캠페인의 성과향상을위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
- DMP : Data management platform. 광고가 도달된 고객 정보(오디언스)의 데이터에 대한 의미있는 분석이 필요한데 DMP는 이러한 데이터 분석을 위해 정보를 쌓고 관리하는 플랫폼입니다.

Q7. RTB는 무엇을 의미하는거죠?
- Real Time Bidding. 실시간 입찰 방식입니다.

Q8. 애드네트워크와 애드서버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.
- 애드네트워크: 수많은 여러 광고 매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서 광고 진행 하는 것.
노출영역을 제휴를 통해 취합하여 한꺼번에 광고를 내보내는 방식입니다. 가까운 예로 구글의 GDN과 다음의 DDN을 생각하면 됩니다.

- 애드서버: 광고서버.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 등 광고노출 가능 영역에 어떤 광고를 내보낼 것인지의 일련의 과정과 실제 집행을 담당하는 컴퓨터를 말합니다.

Q9. 미디어랩은 어떤 일을 하는것이죠? (디스플레이 광고집행시)
- 대개 광고주의 아이템에 맞는 디스플레이 광고 상품 믹싱과 매체자료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.